티스토리 뷰
자유 시장에서는 경쟁이 허용된다. 자유 경쟁 시장에는 시장 가격과 거래량이 수요와 공급이 일정 수준에서 일치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는 이론이다. 기업이론과 생산자 이론은 공급에 초점을 맞춘 이론을 통칭하는 말이다. 소비자 이론은 수요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먼저 공급과 수요의 정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공급의 정의는 재화를 생산자들이 일정 시간 간격 안에 생산할 의향이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수요의 정의는 경제 주체가 재화나 서비스를 일정 시간 간격 안에 구입할 의향이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경제 주체는 재화를 구매하여 스스로의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하는데 이러한 행위의 정도가 수요를 뜻한다. 수요와 공급 이론에서 가장 유명한 내용은 수요와 공급 곡선이다. 수요와 공급 곡선은 가격과 수요 그리고 공급을 기준으로 그래프를 그린다.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일정하다면 그만큼 시장 가격이 상승한다. 수요량이 일정한데 공급 곡선이 증가하면 가격이 떨어진다. 수요와 공급 곡선에서 가격은 수요와 공급량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수요와 공급 법칙에서는 대체재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대체재는 한 재화가 다른 재화화 용도가 비슷해서 대신 사용할 수 있을 때 서로 대체재라고 한다. 예를 들면 지하철 교통이 포화 상태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지하철 공급이 제로가 된다. 그러나 지하철을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인 버스가 있다. 지하철에 대한 수요를 버스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대체재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체재는 서로 공급량과 수요량 연관되어 있는 관계이다. 하나의 대체재의 공급이 감소하면 다른 대체재의 수요가 증가한다. 하나의 대체재의 공급이 증가하면 다른 대체재의 수요가 감소한다. 이처럼 대체재는 서로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대체재와 함께 알아두어야 하는 보완재라는 개념이 있다. 보완재는 한 재화의 수요가 상승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가 같이 상승하는 경우다.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 가격과 기름값이 있다. 유가가 급증하면 자동차 수요가 떨어진다. 반대로 유가가 감소하면 자동차에 대한 수요는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보완재도 대체재와 같이 어떤 재화나 서비스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다. 그 다음 개념으로는 가처분소득 증가를 이해해야 한다. 가처분소득은 수요자가 실질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소득이 발생한 정도를 말한다. 수요자의 가처분소득 증가는 수요자가 어떤 사건으로 인해 가처분소득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 평소 구매하고 싶었던 재화를 살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이를 가처분소득의 증가라고 한다. 반대로 수요자의 가처분소득이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갑작스럽게 지출을 하거나 벌금으로 평소보다 지출이 큰 경우가 있다. 수요자는 구매하고 싶었던 재화를 구입하는 것을 포기하거나 보류한다. 이는 결국 수요의 감소를 초래한다. 수요자의 기호가 변화하는 경우로 수요 공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수요자의 구입 목표보다 더 마음에 드는 재화가 있는 경우에는 수요자는 원래 구매하려던 제품을 포기하고 마음에 드는 다른 물건을 구입한다. 이런 경우를 수요자의 기호 변화라고 한다. 쉬운 예를 들면 저가의 무선 컴퓨터를 구매할 때 넷북밖에 없었는데 스티브 잡스가 아이패드를 출시해 더욱 매력적인 상품이 시장에 나타난 경우다. 이때 넷북 수요자의 상당부분이 아이패드로 유입된다. 시장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변화로 변화하고 결정된다. 수요는 여러 이유로 급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공급 중이던 재화의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 공급자는 이익을 최대화 하기 위해 공급을 늘리거나 가격을 올릴 수 있다.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대체재가 없는 경우다. 예를 들면 지하철 노선이 하나밖에 없는 지역이 있다. 그 지역이 신도시로 개발되어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 이 지역에 지하철의 대체재인 버스가 다니지 않는다면 합리적인 공급자는 지하철 가격을 인상한다. 지하철 가격을 올려서 수요자가 자가용을 타고 출근하는 것이 더 이익이 될 수 있도록 가격을 조정한다. 그럼에도 수요가 계속 높다면 공급업체는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지하철 공급을 더 늘리는 선택을 하여 이익을 극대화 한다. 대체재가 있는 경우에도 수요는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과 버스 모두 존재하는 지역이 있다. 모든 교통 수단의 가격은 담합을 하지 않는 이상 함부로 결정할 수 없다. 한 대체재의 가격이 너무 올라가면 수요자는 당연히 다른 대체재로 몰릴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수요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최대의 만족을 얻기위해 선택한다. 그런데 한 재화의 가격이 너무 높다면 대체재를 찾아 이용하게 된다, 지하철과 버스같은 재화의 경우 시설투자를 하지 않으면 수요자를 다른 대중교통에게 빼앗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보완재의 가격변화다. 예를 들면 산유국의 석유 생산량이 평소보다 10배 증가했을 때 공급 과다로 유가는 폭락한다. 유가가 폭락하면 보완재인 자동차 수요는 급증한다. 공급자인 자동차 회사는 이러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신차를 출시한다. 생산요소의 가격이 변동되어 가격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생산요소는 원재료와 임금 등을 뜻한다. 임금이 인상되거나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재화를 생산하는 비용이 증가한다. 공급자는 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이윤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수요가 일정한 상태에서 가격을 올리면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 공급자는 이에따라 공급 자체를 조절한다. 하지만 생산 요소 가격의 상승은 손해를 발생시킨다. 반면에 생산요소의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에는 제품 가격이 동일하게만 유지되어도 공급을 늘리는 것을 통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생산 요소의 가격변화는 단기적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업은 이러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항상 노력한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자율이 결정되는 원리에 대하여 (0) | 2020.07.14 |
---|---|
화폐금융론의 의미에 대하여 (0) | 2020.07.14 |
미시경제학의 개념과 성격 (0) | 2020.07.13 |
케인스 경제학에 대하여 (0) | 2020.07.13 |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에 대하여 (0) | 2020.07.12 |